|
 |
 |
위의
XRD 스펙트럼은 이미 알려져 있는 은(Silver)의
XRD 스펙트럼의
패턴과 비교하였을 때 전형적인 은(Silver) 나노
입자임을 보여줍니다.
즉, NANOMIX™가 은(Silver) 나노 입자임을
보여줍니다. |
|
|

 |
시료와 열적 비활성 기준물질 사이의 온도 차이가 온도의
함수로 측정되어
분석한 것으로 , 'Weight Curve'(적색)와
'Temperature diffrence Curve'(파란색)가
우측에서 교차되기 전 Temperature diffrence
Curve가 급격히 감소하는 점
(On Set Point)이 Metal Silver의
녹는 점(Melting Point)으로 약 962℃를
나타낸다.
이는 NANOMIX™가 이온(Ion)이 아닌 메탈(Metal)임을
증거하며,
은(Silver)이 나노화 되어도 그 고유한 물성값(융점
961.9℃)이 변하지 않음을
입증한 그래프이다.
|
|
|
 |
 |
 |
평균 7nm의 입자 크기로 나노화되어
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섬유용 Silver |
평균 1.5nm의 입자
크기로 나노화되어
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의약용 Silver |
|
|
|
|
 |
 |
평균 입자가 5nm의 크기를 갖는 UV
건조 도료용 NanoSilver(Mobile Phone용)
|
평균 입자가 6.5nm의
크기를 갖는
Protein Silver (의약품용) |
|
|
|
|
 |
 |
평균
입자 크기가 50nm의 크기를 갖는
나노화된 백금(白金)입자(Nano Platinum) |
평균 입자의 크기가 3nm의
크기를 갖는
나노화된 금(金)입자(Nano Gold) |
|
|
|
|
 |
 |
평균 입자 크기가 20nm의 크기를 갖는
유기게르마늄(Organic Germanium) |
평균 입자 크기가 3nm의
크기를 갖는
유기셀레늄(Organic Selenium) |
|
|
|
|
 |
 |
평균
입자 크기가 8nm의 크기를 갖는
나노화 된 구리 입자 |
평균 입자 크기가 6nm의
크기를 갖는
나노화 된 아연 입자 |
|
|
|
|
 |
 |
 |
폴리프로필렌(PP)을
방사하여 만든 실,
나노실버와 제올라이트가 혼합되어 있음.
주로 가방 끈, 메트리스 카바 등에 사용. |
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(PET)을
방사하여
만든 실, 절사 현상을 해결하고 압출기
내부 압력을 해소함. 의류 전용. |
|
|
|
|
 |
 |
Viscose-rayon사(絲)에
나노실버가
함침처리된 SEM Image |
Nylon사(絲)에
나노실버가
함침처리된 SEM Image |
|
|
|
|
 |
 |
Viscose-rayon사(絲)에
나노실버(Ag), 셀레늄(Se), 게르마늄 (Ge)이
함침 처리된 SEM Image |
Viscose-rayon사(絲)에
게르마늄(Ge)이
함침 처리된SEM Image |
|
|
|
|
|
|
 |
 |
 |
알루미늄
표면에 일반 도료로 코팅 처리한
표면을 원자현미경 (AFM)으로
촬영한 Image. 표면이 거칠고 불규칙함 |
알루미늄
표면에 나노실버가 혼합된 도료로
코팅 처리한 표면의 원자현미경(AFM) Image. |
|
|
|
|
 |
 |
 |
폴리프로필렌(Polypropylene)
원료에
일반 항균제를 혼합하여 제조한
플라스틱 표면의 원자현미경(AFM) Image |
폴리프로필렌(Polypropylene)
원료에
나노실버가 혼합된 M/B를 혼합하여
제조한 플라스틱 제품 표면 AFM Image |
|
|
|
|
 |
 |
 |
알루미늄
표면에 나노화된 구리가 200ppm농도로 혼합되어
도포된 방오도료 표면의 원자 현미경(SPM) 사진 |
|
|
|
|
 |
 |
 |
알루미늄
판에 방오도료가 도포된 표면의 원자 현미경(SPM)사진 |
|
|
|
 |
 |
 |
알루미늄
표면에 나노화된 아연이 200ppm농도로 혼합되어
도포된 친수성 도료 표면의 원자 현미경(SPM) 사진 |
|
|
|
 |
 |
 |
알루미늄
판에 친수성 도료가 도포된 표면의 원자 현미경(SPM)사진 |
|
|
|
|
|
|